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꿈꿔왔던 정원이 있는 단독주택, 뉴질랜드 라이프

조회 7,940

주거형태 : 단독주택 평수 : 50평이상

뉴질랜드에서 삼 남매를 키우고 있는 건강식단과 홈베이킹 유튜브 Gina입니다.
최근 새로운 도시에서 새집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는데요. 천장이 높은 단독주택에, 저희 부부와 아이 셋, 초록 초록 식물들이 조화롭게 무럭무럭 자라는 집을 만들려 노력했고요.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인 미니멀리스트 북유럽 인테리어를 바탕으로 최근 너무 좋아하는 어반 보헤미안 스타일의 요소들을 군데군데 접목해 스타일링 했답니다.

Contents Stories

다양한 종류의 식물
조화를 이룬
그레이&화이트 공간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합니다

3살과 5살 남자아이 2명과 남편과 함께
행복한 뉴질랜드 생활을 하고 있는
롯데하이마트 Gina 고객님이 직접 소개합니다.

단독주택이고, 총 50평정도에요. 새집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부분은 전혀 손볼 데가 없었고, 제 스타일과 원래 집의 느낌을 절충하는 게 관건... 제가 추구하는 스타일은 미니멀리스트 스칸디나비안 스타일+ 요새 트렌드인 어반 보호+초록 이들이 잘 어우러지는 느낌인데 모든 것을 만족하기엔 돈이… 그래도 최대한 발품+손품 팔아 스타일링 해보았답니다.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식물과 조화를 이룬 거실
모던한 느낌의 외관의 집을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에 잘 녹여내는 것이 관건이었고요. 오픈되어있는 구조와 천장이 높아 탁 트인 집을 절제되어있지만 조화롭게 인테리어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어요. 제가 사랑하는 많은 식물들 또한 자연스럽게 어우러져야 했고요.
문을 열고 들어서면 현관이 있어요. 작은 신발장을 두고 옷걸이도 배치해 두었어요. 현관에 웬 옷걸이? 하시겠지만, 꼬마 삼 남매가 외출하고 돌아오면 옷이며 양말, 신발 다 벗어던지는 통에 어질러지는 것은 한순간! 외투를 걸고, 신발을 정리하는 습관으로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어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그레이와 대리석의 조화로 꾸민 주방
현관 오른쪽은 주방이에요. ㄷ 자 주방으로 모던한 느낌을 주는 그레이 캐비닛과 대리석 벤치 탑이 깨끗한 분위기를 주고요 수납공간이 넓어 부엌데기인 저에겐 안성맞춤이랍니다.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한가지 고민이었다면 천장이 너무 높아서 휑~해 보이는 느낌이 있었어요. 고민 끝에 벽에 플로팅 선반을 달기로 했고 벽면을 채워주며 다소 차가울 수 있는 공간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까지 하게 되었답니다.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우드 플로팅 선반은 citta design 제품이에요. 식물들을 이용해서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어요. 요 공간은 커피와 와인을 마실 수 있는 미니바 공간?이라고 할까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아래는 창가 쪽 자리 잡은 저의 가장 친한 친구들이에요.
아침마다 가족의 스무디를 책임지고 있는 바이타믹스, Sunbeam 토스터기, 키친에이드 스탠드 믹서까지 나란히 두었어요!
미니 선인장이 있는 홈 오피스 공간
현관 왼쪽에는 작은 홈 오피스 공간이 있어요.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제가 일하는 공간이기도 하고요! 요 공간은 모노톤으로 깔끔하고 집중된 느낌으로 꾸며보았고요. 제가 사랑하는 선인장들과 다육이들의 공간이기도 해요! 앞으로 더 많은 선인장들이 입주할 예정입니다!
블랙과 그레이, 초록이만으로 절제된 듯 재미난 공간으로요!
햇빛이 가득 들어오는 다이닝룸
다음은 주방과 연결된 식사를 할 수 있는 dining area에요. 외국의 집들은 다이닝룸이 따로 있는 경우도 많은데요. 저희 집 구조는 다이닝 공간이 주방 앞으로 탁! 트여 있어요!!
키친과 다이닝룸, 거실이 트여있어서 아주아주 시원한 느낌을 줘요. 낮 동안 햇빛도 충분히 받으며 맛나는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지요! 테이블 위와 아래는 jute 소재 러그와 테이블 러너로 보헤미안 감성도 조금씩 주었어요!
그리고 아래는 다이닝 공간에 함께 있는 사이드보드 장식장이고요. 큰 거울을 배치해서 집이 넓어 보이기도 하고요. 여기저기 초록이들이 빼꼼 얼굴을 내밀고 있어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다음은 저희 집 메인!! 거실을 소개합니다. 거실은 화이트톤 벽에 북유럽풍 느낌을 주고자 그레이, 블랙, 화이트의 메인 컬러를 사용하되 절제된 느낌을 줄이고 율동감을 주기 위해 벽면의 아트 프린트들을 배치하고 다양한 질감의 소품들을 이용했어요. 겨울이라 러그나 쿠션 등을 램스울 소재로 따뜻한 느낌도 주었고요. 중간중간 식물 애호가인 저의 초록이들도 함께하면서 절제되지만 생동감 있는 집을 만들어 보았어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거실에는 정원으로 나갈 수 있는 큰 창문이 있어요. 여기에 이중 커튼을 이용해서 안쪽 커튼은 린넨 소재로 집을 더 밝게 뉴트럴 톤을 유지하게 해주고 바깥 커튼은 암막 커튼으로 보온성과 프라이버시를 지키도록 했어요. 아트 프린트들은 플레이 타입사의 제품이에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몬스테라 아트 프린트는 저희 올케가 그려 판매하는 제품이고요. 한쪽 벽면을 비운 대신! 주말마다 프로젝터를 이용해 패밀리 무비 나이트를 열고 있어요. 큰아이가 생기고 TV 치워버린 것은 제가 가장 잘한 일인 것 같아요. 거실을 TV 대신 사교적인 공간으로 지키고 싶었거든요. 거실의 큰 몬스테라는 인테리어 효과와 공기 정화 효과의 효자이지요!
정원이 있는 아늑한 침실
다음은 저희 부부의 침실을 소개합니다. 저희 부부는 삼 남매와 함께 자지 않아서 침실은 저희만의 공간이지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그레이 톤으로 스타일링 했어요. 마찬가지로 y 프린트는 플레이 타입사의 제품이고요 저희 방에도 초록이들과 함께하지요. 왼쪽은 드레스룸으로 들어가는 입구인데, 따로 문이 없어서 커튼을 달았고요.
오른쪽은 정원으로 나가는 문이라 거실과 같은 이중 커튼을 달았답니다.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오래된 의자에 결혼사진과 산세베리아를 올려두니 저희 방의 포인트가 되었어요.
사랑스러운 아이들방
다음은 큰아이와 둘째 아이 (둘 다 아들 만 3살 5살) 이 함께 쓰는 방이에요. 형제가 함께 지내는 것을 좋아해서 이층 침대를 두고, 장난감도 요 방에 두었어요. 벽면에는 선반들을 달아 귀여움을 한껏 강조했고요!
아직 ing 중인 딸 방에는 아이들이 함께 읽는 책들과 아기침대로 두었어요! 인테리어가 다 되면 또 소개해드릴게요.
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늘 그렇지만 혼자 사는 집이 아니다 보니, 가족 구성원이 행복하게 조화롭게 지내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되지요. 모두가 쾌적하게, 하지만 불필요한 것들 없이 단순하게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저의 원칙이었어요. 가장 단순한 생활 속에서 창의성과 행복이 무럭무럭 자란다고 믿거든요.

이 공간에서 맛있게 먹고, 각자가 해야 할 일을 끝내고 즐겁게 대화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그런 집에서 모두가 무럭무럭 자라기를 소망합니다.

BY Ginamiel****

"Gina"님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시다면?

※ 이미지 내 배치된 상품과 태그로 연결된 상품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상품

단독주택 좋아요 베스트

    댓글 작성 안내

    • 개인정보 관련 피해 방지를 위해 주민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 기입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서비스와 관계없는 글, 사진, 광고성, 욕설, 도배 등 약관 및 법률에 위반되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게시글은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나의 단골매장을 등록하면
    이벤트와 혜택이 가득!

    • 가장 먼저 만나는 단골매장의 할인 혜택
    • 스마트픽으로 구매 당일 픽업
    매장 둘러보기

    모바일 웹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하이마트 앱을 통해 문의해주세요.

    내용

    L.POINT 장애 안내

    주소찾기

    건물번호/번지/건물명을 붙여 검색하면 주소찾기가 쉽습니다.

    • 도로명 + 건물번호 (예: 삼성로 156)
    • 동/읍/면/리 + 번지 (예: 대치동 509)
    • 건물명, 아파트명 (예: 하이마트사옥)
    Lotte mall 레이어 닫기

    댓글 신고하기

    게시글의 취지와 어긋나 공공성을 해치는 글을 신고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