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공간에 배치해 볼 수 있어요!

환경을 생각하는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

조회 10,849
요즘 열돔현상으로 30도이상의 고온 날씨가 유지되고 있는데요. 코로나때문에 외출, 여행이 어려워지면서 힘들지만 그만큼 생각해야 되는게 지구온난화인데요 기상이변, 열돔현상 모든게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하니 저도 걱정이 많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할수 있는 #미니멀라이프 #제로웨이스트 생활중인데요 #용기내 #친환경제품사용하기 #장바구니 #텀블러 그리고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을 하고 있답니다
 
이게 일반쓰레기인지, 재활용이 되는건지 고민될때 제대로 알고 올바른 분리수거방법으로 환경을 지키는 방법 실천하면 좋을 것 같아요 !!

Contents Stories

환경을 생각하는
올바른 분리수거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롯데하이마트
지혜매력님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앱으로 알아보는 분리수거
저도 매번 쓰레기 분리수거 하면서 느끼지만 이건 분리수거가 되는지, 재활용이 되는지, 그리고 지역마다 분리수거 되는 종류가 다르다고 하더라구요. 그렇기에 그 많은 정보를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내 손안의 분리배출 어플’을 이용해서 내가 사는 지역으로 정한 후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으로 분리배출 하면 되는데요
어플 들어가면 품목 검색 코드가 있어서 검색 후 올바르게 분리배출 할 수 있는데요 . 각 지역의 아이스 팩 수거함 지역까지 제가 사는 지역에 어디서 수거하는지 알려줘요
분리수거 할 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 잘 몰라서 잘못 버리는 경우도 있기에, 나 먼저 분리배출 올바르게 하는 방법 실천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음식물이 묻은 종이, 비닐은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
저는 용기내, 장바구니, 텀블러 사용하면서 플라스틱, 비닐은 많이 줄였지만 아이 음료수. 컵라면, 맥주캔은 못 줄이고 있어요 ㅠ.ㅠ
아이가 컵라면을 너무 좋아해서...이렇게 음식물이 묻은 컵라면, 비닐은 이물질로 간주되어 재활용이 안되기에 일반쓰레기로 분리배출 하셔야 돼요

몇몇 제로웨이스트 분들은 집에서 컵라면을 먹으면 다른 용기에 라면을 먹고 컵라면 용기 재활용을 하거나 , 다 먹은 용기를 깨끗하게 세척 후 햇빛에 말려주면 용기가 깨끗해진다고 하네요! 그럼 그건 재활용이 된다고 합니다:)
비닐은 안의 내용물을 버리고 펴서 분리배출
환경부에 따르면 비닐쓰레기는 딱지로 접거나 매듭을 묶어서 버리면 안된다고 합니다.
재활용품 선별장에서 비닐이 얇고 가벼워야 기계가 빨아들이는데
딱지가 되면 무거워져 기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인데요. 풍력선별기를 사용하는 비닐 재활용 공정에서도 딱지로 접힌 비닐은 잘 날아가지 않아 결국 폐기 한다고 합니다.
​[ 비닐 버리기 3단계 ]
1. 비닐 내부를 잘 확인할 수 있게 봉지를 편평하게 잘라야 합니다. ( 라면, 과자봉지등 내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불투명한 비닐은 오염됐을 가능성에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2. 비닐 내부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과자나 음식이 있던 비닐은 염분이 재활용 원료의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
 
3. 비닐을 말려서 쌓아 버린다.( 쌓아 놓은 비닐이 날아가지 않도록 한곳에 넣어서 버린다 )
 
- 일회용 위생팩도 깨끗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 택배시 물건을 감싸는 용도의 에어캡, 비닐충전재는 바람을 잘 빼서 분리배출한다
옥수수 완충재 - 일반 쓰레기로 배출
요즘 기업들도 환경에 대해 생각을 하면서 친환경용품으로 대체 하는 중인데요. 그래서 택배를 받으면 비닐대신 완충재로 옥수수 완충재를 많이 사용해요.친환경이라 물에 녹기에, 녹여 버려도 된다는 이야기가 있던데요...
 
환경부에 따르면 옥수수 전분 완충재는 당 성분으로 수질에 영향을 주기에 물에 흘려보내면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고 하네요
 
그렇기에 올바른 분리배출은
- 압축한 뒤 일반쓰레기로 배출( 땅에 매립되면 수십일 안에 자연분해되고
소각해도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 옥수수 전분으로 만들어져 식용원료이기에 유해성분이 나오지 않아
플레이콘 처럼 아이놀이 용도로 사용해도 좋다고 하네요
알루미늄 캔 - 무조건 압축해서 분리배출
저희집은 플라스틱을 대체로 줄이고 있지만 커피나 맥주는 먹어야 하기에 대체로 캔 종류를 많이 마시는데요! 알루미늄 캔의 올바른 배출은
앞의 비닐제거가 되면 비닐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후 가운데부터 눌러주거나 접어주거나 밟아서 분리배출 해야 돼요
알루미늄 캔의 수거율은 80%이지만 다시 캔으로 재활용되는 비율은 30% 미만이라고 하는데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캔을 찌그러뜨려 분리배출해야
다시 캔으로 재활용되는비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패트병 올바른 분리배출-뚜껑, 고리 분리 안해도 된다
요즘 투명 패트병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 투명한 플라스틱병, 패트병은 따로 모으고 있는데요! 저희 아파트도 따로 재활용하는데 안의 음식물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세척 후 바깥의 비닐을 제거한 후 뚜껑이랑 통 따로 버려요
 
환경부에 따르면 뚜껑은 그대로 닫고 고리도 그대로 둔 채 배출해도 괜찮다고 합니다. 재활용 업체에서 페트병으로 원료 생산을 할 때 페트병을 파쇄한 후 세척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리와 뚜껑이 분리되기 때문에 억지로 고리랑 뚜껑을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네요
 
플라스틱 음료 뚜껑은 분리가 되는데 이처럼 고리는 제거가 힘들기에
잘 벗겨지지 않는 고리는 그대로 같이 분리배출 하면 될 것 같아요
기름병 분리배출 - 안의 내용물 세척 후 분리배출
참기름, 식용유등 다 사용하고 난 기름병, 통은 안의 내용물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분리배출 해야되는데요 안의 내용물은 기름이다보니 세제만으로는 세척이 안돼요
 
저는 달걀껍질 ( 사용후 모아놔요 ), 물, 세제를 조금씩 넣어 흔들어줘요
그럼 안의 내용물이 깨끗하게 세척이 됩니다. 플라스틱 뚜껑도 분리해서 버리면 돼요 :)
 
병은 - 유리병, 플라스틱 통은 – 플라스틱에, 잘 떨어지지 않는 종이 라벨은 재활용 공정에서 제거된다고 하니 무리하게 제거 안해도 돼요
전단지등 코팅된 종이- 일반쓰레기로 분리배출
종이 분리수거도 잘 모를때가 많은데요 아파트 이사오니 매일매일 집집마다 붙여있는 전단지 !
 종이류는 물을 뿌렸을때 흥건히 젖는 종이는 종이류, 코팅이 되어 물에 잘 젖지 않는 전단지는
일반쓰레기로 구분해서 버려야 해요
종종 신문지나 책자에 전단지가 끼어있을때 꼭 확인하고 버려야 해요
그밖의 깨진 병, 유리, 치킨, 소, 돼지뼈, 녹슨 칼등 - 일반쓰레기로 분리배출
치킨, 감자탕 먹고 나면 나오는 뼈들 이것도 일반쓰레기에 배출해야 돼요
배출전 뼈에 붙은 살은 모두 떼어낸 후에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됩니다.
 
 깨진유리, 녹슨칼등도 일반쓰레기에 버리는데요.저같은 경우는 택배올때 같이 동봉되는 두꺼운 비닐과 테이프로 뚜껍게 만들어 날카로운 부분이 튀어나오지 않게 해서 꼭 깨진유리, 칼 주의하세요 적어놔요

혹여 환경미화원분들이 일하시다 모르고 손을 베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꼭 주의해서 분리배출해야 돼요
마치며…
분리수거 하러가면 플라스틱용기나 캔등 이물질이 묻은게 많이 보이더라구요
귀찮다고 ,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이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데요
앞으로 살아갈 우리 지구, 지구를 위해서 환경문제를 생각하고
올바른 분리수거로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요 :)

BY 지혜매력curi****

"지혜매력"님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시다면?

※ 이미지 내 배치된 상품과 태그로 연결된 상품은 다를 수 있습니다.

기타 좋아요 베스트

    댓글 작성 안내

    • 개인정보 관련 피해 방지를 위해 주민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 기입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서비스와 관계없는 글, 사진, 광고성, 욕설, 도배 등 약관 및 법률에 위반되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게시글은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나의 단골매장을 등록하면
    이벤트와 혜택이 가득!

    • 가장 먼저 만나는 단골매장의 할인 혜택
    • 스마트픽으로 구매 당일 픽업
    매장 둘러보기

    모바일 웹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하이마트 앱을 통해 문의해주세요.

    내용

    L.POINT 장애 안내

    주소찾기

    건물번호/번지/건물명을 붙여 검색하면 주소찾기가 쉽습니다.

    • 도로명 + 건물번호 (예: 삼성로 156)
    • 동/읍/면/리 + 번지 (예: 대치동 509)
    • 건물명, 아파트명 (예: 하이마트사옥)
    Lotte mall 레이어 닫기

    댓글 신고하기

    게시글의 취지와 어긋나 공공성을 해치는 글을 신고하여 주십시오